디프테리아 (Diphtheria)
장디프테리아균 감염에 의한 호흡기 점막과 피부의 국소 질환
- 원인균 : Corynebacterium diphtheriae
- 감염경로 : 환자나 보균자와 직접 접촉 및 분비물을 통한 간접감염
- 잠복기 : 2~6일
- 주요증상
- 발열과 함께 코, 인두, 편도, 후두 등 침범부위에 염증과 위막을 형성
- 드물게 피부, 결막 등에 침범
- 인두, 편도디프테리아 : 인두통, 림프절 종창, 동통, 경부종창
- 동통, 경부종창
- 후드디프테리아 : 호흡곤란
- 비디프테리아 : 콧물, 점막박리로 장액 또는 혈성 분비물 발생
- 예방법 : 환자와 직접 접촉을 피하고, 환자가 사용했거나 분비무에 오염된 물품은 소독
백일해 (Whooping cough)
격렬한 기침을 주 증상으로 하는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4계절 발생하나 봄, 여름에 걸쳐 호발하며 주로 영유아기에 발생하는 치명율(15%)이 높은질환
- 원인균 : Bordetella pertussis
- 감염경로 : 비말 등 공기매개 감염환자의 호흡기 분비물 또는 직접접촉 전파
(전염력이 매우 높아 2차 발병률이 80% 이상)
- 잠복기 : 3~12일
- 주요증상
- 전구기(1~2주) :콧물,눈물,경한기침,미열 등의 상기도염 증세
- 경해기(2~4주) :발작적인 기침 후 구토,끈끈한 점액성 가래
- 회복기 :기침,구토가 감소
- 예방법 : 환자의 비인두 분비물, 분비물에 오염된 물품은 소독하고 예방접종이 안된 영유아 는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를 피함
성홍열 (Scarlet fever)
늦은 겨울과 초봄에 호발하는 질환으로 주로 6세~12세 아동에 발하는 연쇄구균의 발열성 외 독소에 의한 급성열성 질환
- 원인균 : Group A β-hemolytic streptococci
- 감염경로
- 비말감염
- 환자와 보균자의 분비물과 직접 접촉
- 균에 오염된 우유,아이스크림이나 기타식품
- 잠복기 : 1~3일
- 주요증상 : 인두통이 동반되는 발열, 두통, 구토, 복통, 인두염, 심한인후충혈, 연구개 및 목젖의 출혈반, 딸기혀, 편도선이나 인두 후부에 점액 농성의 삼출액, 경부 림프절 종창
- 예방법 : 환자는 호흡기 및 화농성 분비물에 오염된 물품을 소독
수두 (Chicken Pox)
초봄에 어린이들이 많이 있는 곳이나 학교 등에서 발생
수두 바이러스에 의해 전염되는 급성발진성 질환으로 대부분 3-6세 소아에서 발생하고 전염력이 강함
- 원인균 : Varicella-zoster virus
- 감염경로
- 환자가 기침을 하거나 말할 때 튀어나오는 비말
- 환자의 피부수포,발진 부위 직접 접촉
- 잠복기 : 2~3주(평균 13~17일)
- 주요증상
- 급성의 미열 (반구진성발진 -수포기(피부물집)-가피(딱지)
- 예방법
- 어린이집,학교 등 집단시설
- 감염된 어린이는 전염기간 동안 등원,등교 중지
- 접종력이 없는 아이에게 예방접종 권장
- 외출 후 손,발 씻고 양치질 하기
- 감수성이 높은 신생아나 면역 저하자 접촉 삼가
유행성이하선염 (볼거리) : Mumps
최근에 유행하는 호흡기 질환으로 봄철에 유행하며, 특히 5세 ~15세 소아에서 반발하는 이하성 부종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 열성 질환
- 원인균 : Mumps virus
- 감염경로
- 비말 등 공기매개 감염
- 환자의 타액에 직,간접적 접촉
- 잠복기 : 14 ~21일
- 주요증상
- 잠복기 후 1~2일간의 발열,두통,근육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 후 침샘(주로 귀 밑샘)을 침범하여 동통,압통 유발
- 뇌수막염,고환염,난소염,췌장염등 합병증 유발
- 예방법
- 외출후에는 반드시 손발 씻고 양치 등 개인위생 강화
- 어린이집 등 집단시설 전염확산 예방을 위하여 환자는 증상발현 후 9일까지 가정에서 안정가료
파상풍 (Tetanus)
- 원인균 : Clostridium tetani
- 감염경로 : 흙, 먼지, 동물의 대변 등에 포함된 파상풍의 포자가 피부의 상처를 통해 침투 후 전파
- 잠복기 : 3~21일
- 주요증상
- 전신파상풍 : 가장 흔한 형태로 입주의 근육의 수축으로 인한 개구불능 및 경직에 따른 통증동반.복부강직 및 호흡 근육 경직에 의한 호흡 곤란
- 국소파상풍 : 국소부위의 긴장 유발
- 뇌파상풍 : 중추신경이 지배하는 근육(안면신경,외안근등)의 마비
- 신생아파상풍 : 비위생적인 탯줄관리로 인해 발생(무력감,경직 등)
- 예방법 : 예방접종 기록을 확인 후 면역력이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파상풍 면역글로불린의 투여나 파상풍 톡소이드를 접종
폴리오 (Pollio)
소아에 이환율이 높고 마비를 일으키므로 척수성 소아마비라고도 불리우는 폴리오 바이러스에 의한 전염성 질환
- 원인균 : Polio virus
- 감염경로 : 경구감염
- 잠복기
- 불현성 감염 : 3~6일
- 마비성 폴리오 : 7~21일(4일 정도로 단기간 일수 있음)
- 주요증상
- 미열만 있거나 권태감, 두통, 구토, 설사 등 바이러스가 신경조직에 침입하면 근육통, 경부 배부경직
- 일부에서는 이완성 마비가 3~4일 지속됨(감염자중 90% 이상이 무증상이고 경증으로 지나감)
- 예방법 : 환자의 장내배설물 격리하고 환자의 목 분비물, 대변과 이에 오염된 물품을 소독
풍진 (Rubella)
풍진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하며 미열과 홍반성 구진, 림프절 비대를 특징으로 하는 급성 감염성 질환
- 원인균 : Rubella virus
- 감염경로
- 비말등 공기매개 감염 또는 직접 접촉
- 감염된 산모의 태반을 통해 태아에 수직감염
- 잠복기 : 14일 ~21일
- 주요증상
- 선천성 풍진증후군 : 선천성 백내장, 선천성 심장기형, 청력소실, 풍진망막병증, 자반증, 비장비대, 황달, 소두증, 정신지체, 뇌수막염, 뇌염 등을 보임
- 출생후 감염된 풍진 : 비교적 가벼운 증상, 발진과 발열, 피로, 결막염 등과 관절염, 혈소판감소증 등 합병증 유발 가능
- 예방법 : 발진 후 5일까지 환자를 격리하고 임신 4개월 미만의 임산부는 환자와의 접촉을 절대적으로 피해야함
홍역 (Measles virus)
사계절 두루 발생하지만 유행 시기는 3월~6월, 5월에 많이 발생하는 급성열성 발진성 질환
특히 1세~5세 사이의 소아에게서 가장 높음
- 원인균 : Measles virus
- 감염경로
- 환자와 직접 접촉
- 비인두 분비물에 오염된 물품
- 태반을 통한 선천성 홍역
- 잠복기 : 8~12일
- 주요증상
- 전구기(3~5일) : 발열, 불쾌감, 기침, 콧물, 결막염, 등이 발생하며 전염력이 가장강함
- 발진기 : 머리에서부터 시작하여 얼굴, 목, 팔, 몸통 순으로 발진이 나타나며 40℃이의 고열 동반
- 회복기 : 피부발진이 겨 껍질모양으로 벗겨짐. 이시기에 폐렴, 중이염, 기관지염 등의 합병증이 유발 될 수 있음
- 예방법
- 12~15개월(1차), 4~6세(2차)에 MMR접종을 권장하고 있으며 두 번의 예방접종으로 홍역을 예방할 수 있음
- 유치원이나 보육시설 입소시 아이에게 홍역 2차 예방접종을 맞도록 해주시기 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