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년 역사가 살아있는 금산으로의 여행
칠백의총은 임진왜란 때인 1592년 금산을 점거하고 있던 왜적을 무찌르다 순절한 조헌과 영규대사를 비롯한 칠백의사를 모신 곳이다. 조헌(趙憲, 1544~1592)은 이이(李珥)와 성혼(成渾)의 문인으로 1567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다. 1587년 정여립(鄭汝立)을 논박하는 만언소(萬言疏)를 올렸고, 또한 이산해(李山海)를 논박하는 소를 올려 국왕의 진노를 샀으며, 관직에서 물러나 옥천에 머물던 1589년에도 지부상소(持斧上疏)를 올렸다가 유배를 당하기도 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옥천에서 문인 이우(李瑀), 김경백(金敬伯), 전승업(全承業) 등과 의병 1,600여 명을 모아, 8월 1일 영규(靈圭)의 승군(僧軍)과 함께 청주성을 수복하였다. 그러나 충청도순찰사 윤국형(尹國馨)의 방해로 의병이 강제해산당하고 불과 700명의 남은 병력을 이끌고 금산 연곤평(延崑坪)으로 가서 8월 18일 전라도로 진격하던 고바야가와(小早川隆景)의 왜군과 전투를 벌인 끝에 모두 전사하였다. 1604년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1등으로 책록되고, 영조 10년(1734)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고종 20년(1883) 문묘에배향되고, 옥천의 표충사(表忠祠), 배천의 문회서원(文會書院), 김포의 우저서원(牛渚書院), 금산의 성곡서원(聖谷書院), 보은의 상현서원(象賢書院) 등에도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열(文烈)이다. 기허당(騎虛堂) 영규대사(靈圭大師, ?~1592)의 속성(俗姓)은 밀양 박씨이며, 서산대사 휴정(休靜)의 제자이다. 계룡산 갑사 청련암에서 수도하면서 무예를 익혔다고 하는데, 임진왜란 당시 3일 동안 통곡한 후 스스로 승병장이 되었으며, 조헌과 함께 청주성의 왜적을 쳤고, 다시 금산 전투에 참가하였다가 큰 부상을 입고 계룡면 월암리로 돌아간 후 사망하였다. 금산에서 왜군이 퇴각한 후 조헌의 제자 박정량(朴廷亮), 전승업(全承業) 등이 모든 유골을 거두어 하나의 무덤을 만들고 이를 칠백의총이라 하였으며, 백성들이 해마다 시향(時享)을 지냈다. 선조 36년(1603) ‘중봉조헌선생일군순의비(重峰趙憲先生一軍殉義碑)’가 세워지고, 인조 12년(1634) 순의단(殉義壇)이 설치되어 제향을 올렸다. 인조 25(1647)년에 종용사를 세워 칠백의사의 위패를 모시고, 현종 4년(1663)에‘종용사(從容祠)’라는 사액(賜額)이 내려졌으며, 그후 옆에 종용당서원(從容堂書院)이 건립되었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인들이 의총을 허물고 순의비를 폭파했으나, 금산군 사람들이 비석 조각을 감추어 보존하여 광복 후 1952년에 성금을 모아 의총과 종용사를 재건하였다.
1963년 1월 정부에서는 사적으로 지정한 후 종용사, 의총문, 취의문, 순의비각 등을 새로 세우고, 1977년에 기념관을 신축하였다.
홈페이지바로가기
홈페이지 바로가기금산군 홈페이지를 한번에 바로갈수 있는 바로가기 정보 서비스금산군홈페이지
금산군 계약정보공개
금산군가족센터 홈페이지
금산군건강생활지원센터 시설정보
금산군공무원노동조합 홈페이지
금산군립도서관 홈페이지
금산군의회 홈페이지
금산군청 홈페이지
금산다락원 청소년수련관 홈페이지
금산문화의집 홈페이지
금산산림문화타운 홈페이지
금산시네마 홈페이지
금산역사문화박물관 홈페이지
금산인삼글로벌트레이드 홈페이지
금산인삼축제 홈페이지
금산자원봉사센터 홈페이지
금산평생학습포털 홈페이지
금산홍보 통합 플랫폼
금홍 홈페이지
문화관광 통합 플랫폼
대형폐기물온라인신청 홈페이지
문화관광 홈페이지
산꽃마을 자연치유센터 홈페이지
열린군수실 홈페이지
금산인삼 통합 플랫폼
재난안전대책본부 홈페이지
금산군 재정정보공개
청소년미래센터 홈페이지
추부문화의집 홈페이지
통계 홈페이지
실·과/직속기관/사업소
충남 시·군
유관기관
민원도우미
민원도우미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는 맞춤형 서비스입니다.교육정보안내
교육정보안내다양한 교육정보를 한눈에! 금산 교육정보 안내입니다.전체
아동
청소년
성인
노인
장애인
등록된 교육정보가 없습니다.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