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년 역사가 살아있는 금산으로의 여행
사적 제105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는 이곳은 조선 선조 36년(1603)에 ‘중봉조헌선생일군순의비’가 세워지고, 인조 25년(1647)에 종용사를 세워 700의사의 위패를 모셨지만 일제강점기 때 일본인들의 만행에 의해 의총은 허물어지고 순의비는 폭파되는 수난을 겪어야 했다.
이후 해방을 맞이하고 일부 복원 되었다가 1963년 국가에서 묘역 확장과 함께 순의비를 완전하게 복원하고 1970년에 기념관과 칠백의사순의탑을 새로 지어 오늘에 이른다. 순의탑은 칠백의총 사역의 서쪽 언덕에 위치하고 있다. 전적지인 연곤평이 바라다 보이는 위치에 서있는 이 탑에는 한글로 ‘칠백의사순의탑’이라, 13.8m의 탑신 전면에 새겨 넣었다. 글자가 새겨진 전면 상단부는 동으로 제작된 창과 방패를, 하단의 귀부는 화강암에 용을 새겨 놓아, 칠백의사의 의로운 죽음을 장엄하고 있다.
임진왜란이 발발한 1592년 의병장 중봉조헌(1544∼1592)과 의승장 영규대사(?~1592)는 청주성을 점령하고 청주 남방에 위치하고 있는 호서지방 점령을 호시탐탐 노리고 있는 왜적을 협공하여 청주성을 탈환하는데 성공하지만, 이후 조헌선생의 의병과 영규대사를 포함한 의승병들은 조헌선생의 지휘 하에 금산전투에 임하고 왜군을 협공하기에 이른다. 그러나 수적인 열세를 극복하지 못하고 조헌선생과 영규대사를 포함한 의병과 승병 모두가 전사하는 비운을 맞으면서 오늘의 칠백의총이 탄생했다.
금성산술래길은 칠백의총에서 시작해 금성산 정상을 지나게 되는데 금성산 정상으로 이르는 등산로에 진달래와 철쭉꽃 군락이 펼쳐져 산책로로 군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금성산 정상을 약 570m 정도 앞둔 시점부터 오르막이 시작된다. 통나무 계단이 나오면 정상이 가까워졌다는 것이다. 정상에 오르면 금산군의 명산인 서대산 및 진악산 등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다. 완만한 등산코스에 칠백의총 역사적 배경과 자연환경이 수려하여 역사, 문화, 건강이 공존하는 도보여행의 새로운 명소이다. 또한 도보길 곳곳에 정자, 돌탑, 마을유래 안내판 등을 만들어 무료함을 덜었다.
어머니 손맛이 느껴지지는 정갈한 밑반찬과 보글보글 끓여 나오는 찌개, 김이 모락모락 나는 푸짐한 돌솥 밥 한상으로, 여행 중 출출해진 속을 달래보자.
인삼의 고장 금산에서 땅의 영양을 듬뿍 머금고 자란 인삼을 넣어 만든 인삼유과, 인삼쌀강정, 인삼한과는 한입 맛보면 너무 달지 않고, 쌉쌀한 인삼의 향이 은은히 퍼져 계속 찾게 되는 맛과 영양 모두 일품인 전통 간식이다.
홈페이지바로가기
홈페이지 바로가기금산군 홈페이지를 한번에 바로갈수 있는 바로가기 정보 서비스금산군홈페이지
금산군 계약정보공개
금산군가족센터 홈페이지
금산군건강생활지원센터 시설정보
금산군공무원노동조합 홈페이지
금산군립도서관 홈페이지
금산군의회 홈페이지
금산군청 홈페이지
금산다락원 청소년수련관 홈페이지
금산문화의집 홈페이지
금산산림문화타운 홈페이지
금산시네마 홈페이지
금산역사문화박물관 홈페이지
금산인삼글로벌트레이드 홈페이지
금산인삼축제 홈페이지
금산자원봉사센터 홈페이지
금산평생학습포털 홈페이지
금산홍보 통합 플랫폼
금홍 홈페이지
문화관광 통합 플랫폼
대형폐기물온라인신청 홈페이지
데이터포털 홈페이지
문화관광 홈페이지
산꽃마을 자연치유센터 홈페이지
열린군수실 홈페이지
금산인삼 통합 플랫폼
재난안전대책본부 홈페이지
금산군 재정정보공개
청소년미래센터 홈페이지
추부문화의집 홈페이지
통계 홈페이지
실·과/직속기관/사업소
충남 시·군
유관기관
민원도우미
민원도우미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는 맞춤형 서비스입니다.교육정보안내
교육정보안내다양한 교육정보를 한눈에! 금산 교육정보 안내입니다.전체
아동
청소년
성인
노인
장애인
등록된 교육정보가 없습니다.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