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년 역사가 살아있는 금산으로의 여행
영산 신씨(靈山 辛氏)는 신흥환(辛興煥)의 딸로 전기평(全基平)의 아내이다. 시집간 후 불과 몇 해가 되지 않은 17세에 남편이 죽자 그 남편의 뒤를 따라 목매어 자결하였다. 사림(士林)에서 이를 포상하고 정각을 세워 귀감이 되도록 하였다.(출처:『금산군지』, 금산군지편찬위원회, 1969)
황풍사는 금산김씨(錦山金氏)의 시조 낙천재 김신(樂天齋 金侁)을 배향한 사당이다. 김신은 고종 때 문과에 급제, 사간원좌정언(司諫院左正言)을 거쳐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로 원종 때에 원나라에 들어갔을 때 공훈을 세워 요양행성참정(遼陽行省參政)을 제수받고 고려에 돌아왔을 때에 그의 고향인 진례현(進禮縣)이 금주군(錦州君)으로 승격되었다. 1274년(원종 15) 원나라와 고려가 일본을 정벌할 때 정동대장군으로 출정하여 많은 적을 정벌하였으나, 일기도(日岐島)에서 순국하였다.낙천재를 모신 성곡서원(星谷書院)이 1871년(고종 8) ..
형수당은 효성이 지극하고 우애가 돈독한 전유(全瑜), 전완(全琬), 전구(全球) 삼형제를 배향한 사당이다. 삼형제는 대현(大賢) 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 문하에 수학하였으나 벼슬길에는 나가지 않고 형제가 한 집안에 같이 살면서 힘을 다해서 부모봉양과 형제 우애를 위해서만 힘썼다고 전한다. 어버이가 돌아가셨을 때 50세가 넘은 나이였으나 슬피 울음과 사모함이 주위 사람까지 감동하였고, 상식 올리는 예의와 거처의 변경하는 절차를 한결같이 옛 법을 따르고 석 달 동안을 미음만 먹고 3년 동안 맨밥을 먹으며 담사(?祀)때가지도 예를..
현덕사는 조선 전기의 문신 박흥생(朴興生)을 배향한 사당이다. 박흥생(1374∼1446)의 자는 경부(敬夫), 호는 국당(菊堂)으로, 여흥부(驪興府), 춘천부(春川府) 교수敎授)를 역임하였고, 1423년(세종 5) 평창현령(平昌縣令)을 제수받았다. 효행이 지극하여 정려(旌閭)를 받고 학행과 문장이 뛰어나 당시 거유(巨儒) 목은이색(牧隱李穡), 사가정(四佳亭) 서거정(徐居正)선생이 천양(闡揚)하였다고 한다. 대표적 저서 ≪촬요신서(撮要新書)≫와 한시(漢詩) 십여 편이 전하고 있다. 현덕사는 1980년 건립되었으며, 매년 음력 1..
정부인 한씨는 청주한공 사의(淸州韓公 師義)의 딸로서 강라영(姜羅永)과 혼인하여 공경과 예로서 시부모와 남편을 극진히 받들었다. 시할머니께서 세상을 떠날 때에는 손가락을 찢어 피를 내어 먹여 몇 년을 더 살게 하였으며, 시어머니가 돌아가심에 삼년 동안 고기 먹는 것을 끊었다. 시할아버지께서 병에 걸렸을 때는 4년간을 밤마다 하늘 자신이 대신할 것을 빌었다. 54세에 돌아가시니 향리의 유생들이 상주(上奏)하여 1892년(고종 29)에 명정(命旌)이 내려졌다. 명문에는 “孝婦 贈嘉先大夫禮曹判書 姜羅永之妻 贈貞夫人 淸州韓氏之閭”라 ..
숭의재는 고려말 홍문관 예문관 대제학(弘文館 藝文館大提學) 천안전씨대제학공파(天安全氏大提學公波) 전익(全翊)의 5세손 대호군(大護軍) 전충로(全忠老)를 배향한 사당이다. 전충로는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戊午士禍)와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甲子士禍)가 일어나자 벼슬을 버리고 금산으로 입향(入鄕)하여 뿌리를 내렸다.숭의재는 1954년 개축하여 충효예교실로 병용(倂用)하고 있으며, 매년 10월 4일 시향을 올린다. (출처:「錦山의 天安全氏大提學公波 脈과 뿌리」)
숭절사는 조선초 단종 때 이조판서 묵재 김종한(默齋金宗漢)선생과 좌의정 절재 김종서(節齋金宗瑞)선생 형제분을 모신 사우이다. 묵재 선생은 문종 때에 이조판서에 배수(拜受)되었으며 단종 원년(1453년)에 수양대군에 의한 계유정란에 아우인 절재 김종서와 함께 유배되어 순절하였으며 묘소는 부리면 수통리(島波)에 있다. 절재 선생은 세종 15년(1433년)에 함길도 관찰사가 되어 두만강을 국경으로 하는 육진을 개척하였으며 좌의정이 되어 단종을 보필 중 계유정란에 수양대군에 의해 두 아들과 함께 죽임을 당하였으며, 묘소는 공주군 장기면 대..
1964년에 건립된 귀봉사(龜峰祠)는 남이면 흑암리에 위치한 김해 김씨(金海金氏)의 문중사당으로 흥무왕 김유신(興武王金庾臣), 평장사공김란(平章事公金蘭), 절효공 김극일(節孝公金克一), 안경공 김영정(安敬公金永貞), 의헌공 김예직(毅憲公金禮直) 등 5위를 배향한 사우이다.해마다 지역유림이 음력 3월 3일에 제사를 지낸다.
남일면 마장리 삼태부락 산밑에 있는 사당으로, 충신 양제(梁齊)를 모신 곳이다. 양제는 임진왜란 때 진주성을 지켜 큰 공을 세우고 적의 최후공격에 성이 빼앗겨 촉석루에서 남강에 투신자결한 충신으로 진주 창열사(彰烈祠)에도 배향돼 있다. 이 사당은 1937년 건축된 것으로 해마다 지방 유림에서 음력 8월 12일 추향제를 모시고 있다
남일면 초현리에 있는 현풍곽씨의 사당으로 단묘충신(端廟忠臣) 곽사(郭師)를 모신 사당이다. 공은 세종조에 등제하여 벼슬이 이조판서에까지이르렀으나 세조의 탈권으로 단종이 영월에서 해를 당하자 벼슬을 버리고 아들 득창과 함께 금산의 옥황동에 와서 다시는 벼슬을 하지 않고단종의 원혼을 위로하고 일생을 초야에 묻혀 살다가 세상을 떠났다. 정의사는 공의 위와 같은 충절을 숭모하여 지방 유림과 후손의 정성으로1957년에 건립한 것이며, 공의 위패를 모시고 해마다 음력 10월 25일에 제사를 지낸다.
홈페이지바로가기
홈페이지 바로가기금산군 홈페이지를 한번에 바로갈수 있는 바로가기 정보 서비스금산군홈페이지
금산군 계약정보공개
금산군가족센터 홈페이지
금산군건강생활지원센터 시설정보
금산군공무원노동조합 홈페이지
금산군립도서관 홈페이지
금산군의회 홈페이지
금산군청 홈페이지
금산다락원 청소년수련관 홈페이지
금산문화의집 홈페이지
금산산림문화타운 홈페이지
금산시네마 홈페이지
금산역사문화박물관 홈페이지
금산인삼글로벌트레이드 홈페이지
금산인삼축제 홈페이지
금산자원봉사센터 홈페이지
금산평생학습포털 홈페이지
금산홍보 통합 플랫폼
금홍 홈페이지
문화관광 통합 플랫폼
대형폐기물온라인신청 홈페이지
데이터포털 홈페이지
문화관광 홈페이지
산꽃마을 자연치유센터 홈페이지
열린군수실 홈페이지
금산인삼 통합 플랫폼
재난안전대책본부 홈페이지
금산군 재정정보공개
청소년미래센터 홈페이지
추부문화의집 홈페이지
통계 홈페이지
부서/직속기관/사업소
충남 시·군
유관기관
민원도우미
민원도우미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는 맞춤형 서비스입니다.교육정보안내
교육정보안내다양한 교육정보를 한눈에! 금산 교육정보 안내입니다.전체
아동
청소년
성인
노인
장애인
등록된 교육정보가 없습니다.
기타